엔터티(Entity)
- 업무에서 관리해야 하는 데이터 집합(관심사), 저장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데이터
- 개념, 사건, 장소 등의 명사
▶ 엔터티의 특징
- 업무에서 쓰이는 정보 포함 (업무 프로세스에 이용)
- 유일한 식별자 존재
- 2개 이상의 인스턴스 포함
- 반드시 속성을 가짐
- 다른 엔터티와 1개 이상의 관계 존재
▶ 엔터티의 분류
- 유형 vs. 무형
- 유형 엔터티(Tangible Entity) : 물리적인 형태 존재, 안정적, 지속적 (ex: 상품, 회원, 학생 ... )
- 개념 엔터티(Conceptual Entity) : 물리적인 형태 없음, 개념적 (ex: 부서, 학과, 수업 ... )
- 사건 엔터티(Event Entity) : 행위를 함으로써 발생, 빈번함, 통계자료로 이용 (ex: 주문, 이벤트 응모, 수강신청 ... )
- 발생시점
- 기본 엔터티(Key Entity) : 독립적으로 생성됨, 자식 엔터티를 가질 수 있음
- 중심 엔터티(Main Entity) : 기본 엔터티로부터 파생, 행위 엔터티 생성
- 행위 엔터티(Active Entity) : 2개 이상의 엔터티로부터 파생, 데이터 양이 가장 많음
▶ 엔터티의 이름을 정할 때 주의사항
- 업무에서 실제로 쓰이는 용어 사용
- 한글은 약어 사용 X, 영문은 대문자 표기
- 단수 명사 및 명확한 표현, 띄어쓰기 X
- 다른 엔터티와 의미상 중복 X
※ 릴레이션과 테이블, 인스턴스(Instance) : 릴레이션과 테이블은 같은 의미, 릴레이션에 기본키 및 제약조건을 설정하면 테이블임. 단, Relationship은 릴레이션 간의 관계. 인스턴스는 릴레이션이 가질 수 없는 값(행의 수)
'분석가 Step 0. 자격증 > SQL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장] 반정규화,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(0) | 2023.03.22 |
---|---|
[1장] 데이터 모델, 정규화, 반정규화 (0) | 2023.03.20 |
[1장]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4절 (0) | 2023.03.17 |
[1장]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3절 (0) | 2023.03.17 |
[1장]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절 (0) | 2023.03.17 |